[Linux] 명령어

전체 목록 확인

cat /etc/passwd

전체를 다 확인 할 수 있다.

cut -f1 -d: /etc/passwd

아이디만 짤라서 보여준다.


USERADD 를 통해 등록된 계정만 보기

grep /bin/bash /etc/passwd


grep /bin/bash /etc/passwd | cut -f1 -d:

이거 역시 아이디만 짤라서 보여줌

하드웨어 모니터링 명령어 모음

https://www.whatap.io/ko/blog/10/

스왑파일 사이즈 조정

[Ubuntu 18.04] Swap 크기 조정하기
우분투에서 사용되는 메모리는 물리메모리(RAM)와 SWAP메모리(HDD or SSD 등 disk)로 구성됩니다. 물리메모리가 부족하게 되면 SWAP메모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메모리 확인 어플리케이션이 느려지거나, OOM(Out of Memory)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메모리 부분을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 free -m totalusedfreesharedbuff/cacheavailable Mem:31989188661214151990812662 Swap:20475051542 free -m 명령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며 위 경우는 2…
[Tips] Ubuntu 20.04 에서 swap file 늘리기
용량이 큰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면 화면 업데이트 업데이트가 안되는 freezing 현상이 발생되고, 마우스 클릭을 하더라도 반응이 없거나 매우 느린 현상이 발생한다면 “Memory 부족 현상”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 감시’ 를 띄워 놓고 Memory 와 SWAP 사용량을 확인하면 메모리 부족 현상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시스템 감시는 8GB RAM 은 다 사용했고, 부족한 메모리를 대신 SWAP 을 사용하고 있지만 대략 50% 정도 사용 중이다. Memory 부족 현상은…

swapon -s 로 현재 사용중인 스왑파일 위치 확인 가능

https://www.tumblr.com/orangepione/143499105838/add-swap-file-on-ubuntu

오렌지 파이 공식 이미지에서 vram 사용중

MINZKN
programming

요거를 바탕으로 부팅시 스크립트를 수정해줘야함

zramctl 사용 및 변경방법 | 페도라 한국 사용자 모임
홈 › 게시판 › Tech/Tip › zramctl 사용 및 변경방법 검색: 태그: fedora, useage, zram, zramctl This topic has 1개 답변, 1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1 year, 12 months 전에 by simmon. This post has been
Ubuntu 컴퓨터에서 ZRAM을 구성하는 방법
ZRAM은 더 많은 RAM을 얻기 위해 일부 CPU 마력을 교환할 수 있는 환상적인 솔루션이지만 ZRAM에 더 많거나 적은 RAM을 할당하도록 어떻게 구성할 수 있습니까? 압축 알고리즘을 어떻게 변경할 수 있습니까? 어떤 시나리오에서 그러한 변경이 가치가 있습니까? Ubuntu에서 ZRAM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 보려면 계속 읽으십시오. 현재 ZRAM 상태 확인 대부분의 사람들은 zram-config 스크립트를 통해 Ubuntu, Mint […]
Drop swap for zram on Linux
Zram is a tool for creating an in-RAM compressed cache, specifically for use as swap space.

리눅스 zram 설정 하기 (zram-tools)
안녕하세요? 리눅스로 홈서버를 운영하면서 겪고 있던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전에 아래 자동화를 잘못 작성하여 램 무한증식? 현상을 만났었는데요. https://cafe.naver.com/koreassistant/11228 그러나 그간 한 4개월 된것 같은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esphome 과 http소켓이 끊겨서 복구가 되지 않거나 HA 의 웹 UI가 열리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 문제는 해결이 어려워서 ... 아무리 로그를 검토해봐도 해결이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1. 램 부족 현상 일단은 이 증상이 램 부족 증상에서…


위에 나온 내용은 필요한 부분들 일부들만 필요하고 나머지 필요없는 내용은 날려도된다.

오렌지파이(우분투)의 경우 아래 포스팅 내용이 적용되어진다.

위에꺼는 zram 설정 경로가 다 틀림 이게 맞는거임

angepizero2:/etc/default# vi orangepi-zram-config

Ubuntu swap 파일 관리
1. swap 파일 확인 다음과 같이 swapon 명령으로 SWAP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수행 결과가 빈 리...

스왑파일을 추가로 사용하고 싶다면 설정해서 사용하면 된다.

각 디스크 정보를 보고싶다면 lsblk  사용

AWS ec2에서 ubuntu 서버를 만들면,

제일 처음 private key로 접속하게 될 것이다.

접속하면 username에 ubuntu를 입력하면 접속이 된다.

private key로 접속하였기 때문에 ubuntu 나 root 계정의 password는 따로 없는 상황!

그러니, aws ec2를 처음 만들면

root 비밀번호와 ubuntu 비밀번호부터 생성해주도록 하자.

root 비밀번호 생성하기

1. ubuntu 계정(w. private key)으로 ec2 접속

2. sudo passwd root 입력

3. 아래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재확인 과정을 거쳐 root 비밀번호를 설정 할 수 있다.

ubuntu@ip-172-31-3-41:~$ sudo passwd root
Enter new UNIX password:
Retype new UNIX password: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ubuntu 계정 비밀번호 생성하기

1. ubuntu 계정(w. private key)으로 ec2 접속

2. sudo su - 입력

3. passwd ubuntu 입력

4. 아래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재확인 과정을 거쳐 ubuntu 비밀번호를 설정 할 수 있다.

ubuntu@ip-172-31-3-41:~$ sudo  su -
root@ip-172-31-3-41:~# passwd ubuntu
Enter new UNIX password:
Retype new UNIX password:

디렉토리 용량 확인

리눅스의 du 명령어로 각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u 명령어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du 명령어

du 명령어 입력 시 현재 디렉토리의 첫 단계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해서 KB 단위의 크기를 출력합니다.

du

다음과 같이 결과가 표시됩니다.

du 결과

du 명령어의 몇 가지 유용한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전체 파일 크기 출력 (--all)

-h

디렉토리/파일 크기 KB/MB/GB 단위로 표시 (--human-readable)

-s

디렉토리의 전체 사용량만 표시

--max-depth=N

최대 N번째 하위 디렉토리까지 표시

---apparent-size

실제 파일의 용량 표시

-b

바이트 단위 실제 파일의 용량 표시

보통 다음과 같이 -s와 -h 옵션을 함께 사용하고 디렉토리 경로를 입력해서 출력합니다.

du -sh /data/plexdrive

다음과 같이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한 해당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간략하게 표시합니다.

dh -sh 결과

현재 디렉토리는 경로를 입력하지 않거나 .(마침표)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첫 단계의 하위 디렉토리의 결과를 포함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du -h --max-depth=1 /data/plexdrive

--max-depth의 설정 값에 따라 하위의 하위까지 단계 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x-depth 사용

--max-depth를 2로 설정하는 경우 /data/plexdrive/cache와 /data/plexdrive/config의 하위 디렉토리까지 표시됩니다.

마지막으로 -b 옵션으로 실제 사용 중인 정확한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u -sb /data/plexdrive

다음과 같이 실제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량

모든 파일의 실제 사용량을 확인할 때는 -s 대신 -a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2. du 활용법

용량이 부족하거나 할 때 디렉토리의 사용량의 크기 별로 확인하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du -b --max-depth=1 /data/plexdrive | sort -hr

첫 단계의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해서 디렉토리 용량을 기준으로 큰 순서로 표시됩니다.

큰 용량의 디렉토리를 확인해서 파일을 비우고 디스크 용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head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량 기준 상위 N개의 디렉토리만 가져올 수 있습니다.

du -b --max-depth=1 /data/plexdrive | sort -hr | head

기본 상위 10개의 디렉토리만 가져오고 head 뒤에 -5 등으로 상위 N개만 볼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du 명령어로 리눅스 디스크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정리 해야될 내용


!! 우분투 폴더 용량 확인

1. df 디스크 별 용량 확인

df -h


2. du

1) 특정 디렉토리 용량 확인

du -hs folder

-h 옵션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mb, gb단위)로 출력해준다.

2) 현재 폴더에 있는 폴더 및 파일 용량 출력

du -hs *

3) 현재 폴더에서 파일 용량이 큰 순서대로 출력

du -h --max-depth=1 | sort -hr

4) 현재 디렉토리에서 상위 10개 폴더의 용량 보기

sudo du -hsx * | sort -rh | head -n 10

5) 디렉토리에 있는 폴더들의 모든 용량을 큰 순서로 정렬

# root dir
sudo du -ah --max-depth=1  / | sort -hr

# 현재 dir
sudo du -ah --max-depth=1  . | sort -hr
sudo du -ah --max-depth=1  ${PWD} | sort -hr